해양물리학

공부자료2020. 11. 27. 14:26
반응형

염분 : 해수 1KG 녹은 물질의 g수

ex) 염분 35% 1kg 해수 35g염

 

해수 중 주요 성분 Cl- >Na+>So4-2>Mg+2

 

염분은 평균 34.69 =약 34.7

 

해수밀도 P = 1027kg/m3

-밀도 : 얼마나 무거운가

-밀도는 수온이 높으면 낮아지고

           염분이 많으면 높아지고

           압력이 높으면 커진다

 

6시그마=p-100 = 27

 

파랑(wave)은 에너지가 전파되는 것이고 물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.

-종류 : 표면장력파, 풍파, 항만공영파, 쓰나미, 조석

-파랑은 굴절, 반사, 간섭 현상을 보인다

 

풍파의 성장

-바람 - 파의 전파 속도보다 빨라야 한다

-지속시간 : 3일 정도

-취송거리 : 바람 방향이 바뀌지 않고 계속 부는 영역

 

내부파(internal wave)

-파도는 해표면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밀도가 다른 두 물층 사이에서도 일어난다.

 

서안경계류 : 쿠로시오, 동호주, 멕시코만류, 브라질해류

동안경계류 : 캘리포니아, 페루, 카나리, 벵겔라 해류

 

해류 측정

-오일리법 : 한곳에 정지 지나가는 해수 속도 측정

 : adcp 도플러 효과

 : GEK 

 : 전화선 : 전압차이

 : HF RADER

-라그랑지 : 해류 따라가며 시간따라 위치 기록

 

상태방정식 = 밀도 구하는 식

- P=1027-0.15(T-10) + 0.78(S-35) + 0.0045P

-상태방정식 PSMS DBAR 도는 M를 사용

 

T-S diagram 이유

-수괴 분석, 성층화 정도, 수괴의 혼합 분석을 위해서

 

 

반응형